지카모토 고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카모토 고지는 오사카 가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2019년부터 한신 타이거스에서 뛰고 있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고등학교 시절 투수로 활동하다가 대학에서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 일본 대표로 준우승에 기여했다. 2018년 드래프트에서 한신 타이거스의 지명을 받아 입단하여, 2019년 신인 시즌에 도루왕을 차지하고 올스타전 MVP로 선정되었다. 2021년에는 최다 안타 타이틀을, 2023년에는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했으며, 4번의 도루왕, 3번의 골든 글러브상과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치국
박치국은 두산 베어스 소속 사이드암 투수로, 2017년 입단 후 뛰어난 견제 능력과 강속구를 바탕으로 셋업맨 및 롱릴리프로 활약하며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김재환 (야구 선수)
김재환은 두산 베어스 소속의 프로 야구 외야수로, 2008년 포수로 입단하여 외야수로 전향 후 장타력을 바탕으로 주전으로 활약하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금지약물 복용 징계와 메이저 리그 진출 실패 후 FA 재계약을 맺었다. - 효고현 출신 야구 선수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효고현 출신 야구 선수 - 미나미 류스케
미나미 류스케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 입단하여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고등학교 시절 전국 대회에 출전하고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다나카 마사히로
다나카 마사히로는 '마군'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우완 투수로, 라쿠텐 시절 압도적인 기량과 메이저리그 활약, 그리고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까지 일본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뛰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바탕으로 수많은 타이틀과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 지카모토 고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선수 정보 | |
![]() | |
| 포지션 | 외야수 |
| 팀 | 한신 타이거스 |
| 등번호 | 5 |
| 타석 | 좌 |
| 투구 | 좌 |
| 출생일 | 1994년 11월 09일 () |
| 출생지 | 일본 효고현 아와지시 |
| 프로 데뷔 | |
| 리그 | NPB |
| 데뷔일 | 2019년 3월 29일 |
| 데뷔 팀 | 한신 타이거스 |
| 통계 (2023년 기준) | |
| 타율 | .291 |
| 안타 | 773 |
| 홈런 | 39 |
| 타점 | 225 |
| 도루 | 149 |
| 소속 팀 | |
| 선수 경력 | 한신 타이거스 (2019–현재) |
| 수상 내역 | |
| 올스타 선정 | 4× NPB 올스타 (2019, 2021, 2022, 2024) |
| 도루왕 수상 | 3× 센트럴 리그 도루 리더 (2019, 2020, 2022) |
| 우승 경력 | 일본 시리즈 챔피언 (2023) |
| MVP 수상 | 일본 시리즈 MVP (2023) NPB 올스타 MVP (2019) |
| 골든 글러브 수상 |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2021) |
| 특별상 수상 | 센트럴 리그 연맹 특별상 (2019) |
| 기타 정보 | |
| 신장 | 171 |
| 체중 | 69 |
| 연봉 (2025년) | 3억 7000만 엔 |
2. 선수 경력
오사카 가스를 거쳐 2018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한신 타이거스에 1라운드 3순위로 지명되었다.(후지와라 쿄타와 타츠미 료스케 추첨에서 탈락한 후)[10] 계약금 5000만엔, 연봉 1500만엔(추정)에 계약하며 등번호 5번을 받았다.[11]
2019년 스프링 캠프에서 1군에 합류, 22개의 안타로 3할 7푼 3리의 타율을 기록하며 개막전에서 리드오프와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다.[12] 6회 초, 첫 안타로 동점을 만들었고, 1956년 이후 한신 신인으로는 처음으로 시즌 개막전에서 득점을 올렸다.[13] 이후 4월 11일 베이스타스를 상대로 첫 홈런을 기록하는 등 활약하며 리드오프 자리를 굳혔다.[15] 13경기 연속 안타 신기록을 세웠고,[16] 5월에는 10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외야수로 출전, 7월 13일 최종전에서 5타수 5안타를 기록하며 올스타전에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한 NPB 역사상 두 번째 선수이자 유일한 신인이 되었다. 또한 올스타전에서 리드오프 홈런으로 시작한 최초의 신인이 되었다.[18] 뛰어난 활약으로 경기 MVP로 선정되었다.[20]
9월 5일, 137번째 안타로 타카야마 슌이 세운 한신 신인 최다 안타 기록을 넘어섰고,[21] 9월 16일에는 한신 신인 멀티 히트 기록을 깼다.[22] 9월 19일에는 나가시마 시게오가 보유한 센트럴 리그 신인 최다 안타 기록을 깼다.[23]
142경기에 출전하여 159안타, 42타점(9홈런 포함), 타율 .271, 36도루로 리그 1위를 차지했다.[24] 연봉은 3000만엔 인상되어 4500만엔이 되었다.[25]
2020년에도 리드오프 자리를 유지했다. 6월에는 부진했지만, 8월에 3할 5푼 2리로 반등하여 시즌을 3할대로 마감했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단축된 시즌임에도 불구하고, 팀의 120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타율 .293, 45타점(9홈런 포함)을 기록했다.[26] 31개의 도루로 다시 한번 리그 1위를 차지, 데뷔 이후 2년 연속 30개 이상의 도루를 기록한 8번째 NPB 선수이자 최초의 한신 선수가 되었다.[28] 연봉은 3000만엔 더 인상되어 7500만엔이 되었다.[30]
2023년 일본 시리즈에서 14개의 안타를 기록하고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31]
2024년 5월 11일, 통산 첫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32]
2. 1. 아마추어 시절
지카모토 고지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아와지시에 있는 가리야 클럽에서 소프트볼을 시작하여 중학교 때까지 선수로 활동했다.[1] 아와지 시립 히가시우라 중학교 시절에는 연식 야구부에 소속되었으며, 초・중학교 동기로는 야마모토 다이키가 있었다.[37]효고현립 샤 고등학교에 투수로 입학했지만, 2학년 가을까지 체력 단련을 위해 외야수로도 뛰었다.[38][39] 1학년 가을부터 벤치에 들어가 2학년 봄에는 주전으로 현 대회 준우승을 경험했다.[38] 2학년 가을부터 투수로 다시 전향했지만, 주로 외야수로 경기에 출전했다.[39] 3학년 여름에는 2번째 투수이자 3번 타자로 현 베스트 8 진입에 공헌했다.[40] 봄 고시엔과 여름 고시엔에는 모두 출전하지 못했다.[41]
간세이 가쿠인 대학 법학부에 진학[42] 후 다시 투수로 활동했지만, 팀 사정과 팔꿈치 부상 등의 영향으로 3학년부터 외야수로 완전히 전향했다.[43] 그 해 봄에 리그 최다인 10도루를 기록하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간사이 학생 리그 통산 30경기에 출장하여 122타수 43안타, 타율 .352, 2홈런, 16타점, 13도루를 기록했다.
오사카 가스에서는 1년차부터 주전으로 활약했으며,[38] 도시 대항 야구에 미쓰비시 중공업 고베・다카사고의 보강 선수로 본선에 출전했다.[44] 다음 해 도시 대항 야구에서는 준결승 JR 동일본전에서 반도 유고에게 결승타를 치는 등[45] 팀의 우승에 공헌했고, 타율 .524로 수위 타자와 하시도상을 수상했다.[46] 8월에는 2018년 아시안 게임 일본 대표로 선출되어 준우승에 공헌했다.[47]
2. 1. 1. 주요 성적
| 연도 | 타이틀 |
|---|---|
| 2019년 | 도루왕, 센트럴 리그 신인 특별상, 올스타전 MVP (2019년 2차전), 야나세·한신 타이거스 MVP상 |
| 2020년 | 도루왕, 스피드업상(타자 부문) |
| 2021년 | 최다 안타, 베스트 나인(외야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외야수 부문), 올스타전 감투 선수상 (2021년 1차전) |
| 2022년 | 도루왕, 베스트 나인(외야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외야수 부문), 한신 타이거스 DID 어워드(7월) |
| 2023년 | 도루왕, 베스트 나인(외야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외야수 부문), 일본 시리즈 MVP (2023년) |
2. 2. 프로 입단 후
2018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한신 타이거스는 1라운드 지명에서 후지와라 쿄타와 타츠미 료스케를 놓치고, 3순위로 지카모토 고지를 지명했다.[10] 지카모토는 계약금 5000만엔, 연봉 1500만엔(추정)에 계약하며 등번호 5번을 받았다.[11]입단 후 지카모토는 빠른 발과 정교한 타격을 바탕으로 팀의 주축 선수로 성장했다.
2. 2. 1. 한신 타이거스 (2019년 ~ 현재)
'''近本 光司|ちかもと こうじ일본어는 2019년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2019년''', 신인으로 개막전부터 주전으로 활약했다. 3월 29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개막전에서 2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여 6회말 첫 안타와 첫 타점을 기록했다.[61] 한신 신인 선수의 개막전 타점은 1956년 이후 63년 만이었다.[62] 4월 11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에서 프로 첫 홈런을 기록한 후,[64] 1번 중견수로 정착하여 4월 18일부터 5월 2일까지 13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구단 신인 기록을 경신했다.[67] 올스타전에 센트럴 리그 외야수 부문 팬 투표 2위로 선출되었고,[69] 7월 13일 2차전에서 신인 최초 선두 타자 홈런과 역대 두 번째 사이클 안타를 기록하며 MVP로 선정되었다.[71][72][73] 9월 5일, 타카야마 슌이 가지고 있던 한신 신인 최다 안타 기록을 경신했고,[74] 9월 19일에는 나가시마 시게오가 보유한 센트럴 리그 신인 최다 안타 기록을 넘어섰다.[77] 최종적으로 14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1, 9홈런, 42타점, 36도루를 기록하며 신인으로서는 역대 3번째로 도루왕을 차지했다.[78][79][80] 신인왕은 무라카미 무네타카에게 내줬지만, 특별상을 수상했다.[81]
'''2020년''', 개막전에서 2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지만 초반에는 타격 부진을 겪었다.[83] 그러나 8월에 월간 타율 .352를 기록하며 부활했고,[84] 최종적으로 타율 .293, 9홈런, 45타점, 31도루를 기록하며 2년 연속 도루왕을 차지했다.[85] 오프 시즌에는 한신 선수 회장으로 취임했다.[88]
'''2021년''', 개막 직후 부진했지만 곧 회복하여 타율 3할 가까이 끌어올렸다. 올스타전에 센트럴 리그 외야수 부문 팬 투표 2위로 선출되어 7월 16일 1차전에서 2안타를 기록하며 로베르토 페타지니의 올스타전 6타수 연속 안타 기록을 넘어 7타수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90] 10월 21일 경기 도중 햄스트링 부상으로 교체되었고,[92] 다음날 결장하여 2019년부터 이어져 온 연속 경기 출장이 392경기에서 중단되었다.[93] 최종적으로 14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13, 10홈런, 50타점, 24도루를 기록했고, 처음으로 타율 3할과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96] 178안타로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했으며,[97][98] 베스트 나인과 골든 글러브상을 처음으로 수상했다.
'''2022년''', 개막 초반 부진으로 3번 타순을 맡기도 했지만,[100][101] 6월에 타율을 3할대로 회복시켰다. 7월 6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30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구단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103][104] 2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106]
'''2023년''', 4월 1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에서 연장 12회말 첫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고,[108] 6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NPB 레이와 통산 6000번째 홈런이 되는 초구 선두 타자 홈런을 쳤다.[110] 시즌 동안 12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85, 8홈런, 54타점, 28도루를 기록하며 2년 연속이자 통산 4번째 도루왕을 차지했다.[113] 오릭스 버팔로스와의 2023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29타수 14안타, 타율 .483을 기록하며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 팀의 38년 만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31] 3년 연속 베스트 나인과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24년''', 4월 4일 DeNA전에서 통산 150도루를 달성했다.[118] 5월 11일 DeNA전에서는 개인 통산 첫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120]
3. 플레이 스타일
뛰어난 배트 컨트롤과 빠른 발을 이용한 주루 플레이가 강점인 중거리 타자이다. 넓은 수비 범위와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외야 수비를 보여준다. 공수주 모든 면을 고려한 종합 지표 WAR에서 2020년과 2023년에 리그 1위를 기록했다. 타격에서는 최다 안타, 주루에서는 도루왕, 수비에서는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한 경험이 있다.
주된 애칭은 "'''치카'''"[138]이다. 대학 시절에는 빠른 발 때문에 야구 게임 『프로야구 패밀리 스타디움』에 등장하는 캐릭터 "피노"라고 불렸다[139]。 프로 입단 후에는 시즌 초반에 약하고, 후반으로 갈수록 컨디션을 올리는 경향 때문에, 일부 팬들로부터 『포켓몬스터』의 캐릭터 "레지기가스"에 비유되기도 한다[140]。 지카모토 본인도 이러한 별명을 인지하고 있으며, 2021년 올스타전에 출전한 소감을 Instagram에 게시하면서 "#레지기가스 #탈각"이라는 해시태그를 달기도 했다[141]。 또한 2021년 오프에는 자신의 전속 트레이너로부터 레지기가스 인형을 선물받아 "'''레지기'''"라고 이름 붙여 자율 훈련에 가지고 갔다[142]。
3. 1. 타격
정교한 타격으로 많은 안타를 생산하며, 출루율 또한 높다. 빠른 발을 이용한 내야 안타와 기습 번트에도 능하다. 中距離打者|중거리 타자일본어이지만 배트 컨트롤 능력이 뛰어나 다른 선수들로부터 히트 메이커로 널리 인정받는다.[129] 평균 신장1.7m에도 불구하고, 50야드(약 45.72m) 대시 기록은 5.8초였으며, 투구 거리는 100미터를 넘는다.[2] 그는 타격 시 "플라밍고" 자세(무릎을 엉덩이 높이까지 올림)를 취하며, 반대 방향으로 홈런을 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투수에서 야수로 전향한 것은 대학교 2학년 때로 늦었지만,[130] 2년 후 대학교 4학년 가을에 리그전 타율 0.474, 사회인 시대에는 2대회 통산 타율 0.413을 기록하며 현저한 성장을 보였다. 내야 안타가 많고 세이프티 번트도 잘한다.[131]
프로 3년 차에 최다 안타를 획득, 이로 인해 시즌 200안타를 목표로 하고 있다.[132] 연속 경기 안타를 10개 이상 기록하는 확실성을 가지고 있지만, "슬로 스타터"라고 불리기도 한다.[133] 출루율도 높고, 10경기 이상 연속으로 기록하고 있다.[134] 2022년 시즌에는 자기 최장인 14경기 연속 안타·17경기 연속 출루를 기록했다.[135]
2022년 4월 24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통산 500안타를 달성했다. 2022년 5월 28일부터 같은 해 7월 6일까지 기록한 30경기 연속 안타는 맷 머튼과 함께 구단 연속 경기 안타 1위 타이기록이다.
공수주 모든 면을 고려한 종합 지표 WAR에서 2020년과 2023년에 리그 1위를 기록했다.
3. 2. 주루
50m를 5.8초에 주파하는 빠른 발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도루를 시도한다. 프로 통산 5번의 도루왕을 차지하며 리그 정상급 주력을 과시했다.[136] 프로 입단 후 3년 동안은 도루 성공률이 70%대에 머물렀지만, 4년차에는 85.7%로 개선되었다.[136]3. 3. 수비
구계에서도 손꼽히는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한다. 데이터 분석에 따른 수비 지표 UZR에서 2020년, 2021년 2년 연속 중견수 리그 1위를 기록했다.[137] 2019년에는 리그 최다 보살을 기록했다.4. 인물 및 기타 정보
지카모토 고지의 주된 애칭은 '''치카'''이다. 대학 시절에는 빠른 발을 가진 선수로 다른 팀에게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프로 입단 후에는 시즌 초반에 약하고 후반으로 갈수록 컨디션을 올리는 경향이 있다. 아카보시 노리히로를 존경한다.[149] 2018년 3월, 중학교 동급생이었던 여성과 결혼했으며,[144] 같은 해 12월 한신 입단이 결정된 후 결혼식을 올렸다.[145] 2019년 7월에는 첫째 딸이 태어났다.[146] 아내는 애슬리트 푸드 마이스터 자격을 가지고 있어, 지카모토의 식사를 관리하며 지원하고 있다.[147]
4. 1. 별명
주된 애칭은 '''치카'''이다.[138] 대학 시절에는 빠른 발을 가진 선수로 다른 팀에게 두려움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야구 게임 프로야구 패밀리 스타디움에 등장하는 매우 빠른 캐릭터를 본떠 '''피노'''라고 불렸다.[139] 프로 입단 후에는 시즌 초반에 약하고, 후반으로 갈수록 컨디션을 올리는 경향이 있어, 일부 팬들로부터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초반에 능력이 낮은 캐릭터를 본따 '''레지기가스 치카모토'''라고 불리기도 한다.[140] 지카모토 본인도 레지기가스라고 불리는 것을 알고 있으며, 2021년 올스타전에 출전한 소감을 적은 자신의 Instagram 게시물 마지막에 "#레지기가스 #탈각"이라고 적었다.[141] 2021년 오프 시즌에는 전속 트레이너로부터 레지기가스 인형을 선물받아 '''레지기'''라고 이름 붙여 자율 훈련에 가져갔다.[142]4. 2. 가족
2018년 3월, 중학교 동급생이었던 여성과 결혼했으며,[144] 같은 해 12월 한신 입단이 결정된 후 결혼식을 올렸다.[145] 2019년 7월에는 첫째 딸이 태어났다.[146] 아내는 애슬리트 푸드 마이스터 자격을 가지고 있어, 지카모토의 식사를 관리하며 지원하고 있다.[147]4. 3. 존경하는 선수
아카보시 노리히로를 존경하고 있다.[149]5. 연도별 성적
지카모토 고지는 공수주 모든 면을 고려한 종합 지표 WAR에서 2020년과 2023년에 리그 1위를 기록했다. 타격에서는 최다 안타(1회), 주루에서는 도루왕(4회)을 기록했다. 수비에서는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한 기록이 있다.
5. 1. 타격 성적
| 연도 | 나이 | 리그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2019 | 24 | 센트럴 리그 | - | 5위 | - | 1위 | - | - | 1위 | - | - | - |
| 2020 | 25 | 9위 | 3위 | - | 2위 | - | - | 1위 | - | - | - | |
| 2021 | 26 | 4위 | 1위 | 4위 | 3위 | - | - | 2위 | - | - | - | |
| 2022 | 27 | 6위 | 6위 | - | 7위 | - | - | 1위 | - | - | - | |
| 2023 | 28 | 8위 | 6위 | - | 1위 | - | - | 1위 | 3위 | - | 9위 | |
| 2024 | 29 | 8위 | 2위 | - | 2위 | - | - | 1위 | - | - | - |
- '''굵은 글씨'''는 규정 타석을 달성한 해.
- '-'는 10위 미만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는 규정 타석 미달의 경우에도 '-'로 표기).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공수주 모든 면을 고려한 종합 지표 WAR에서 2020년과 2023년에 리그 1위를 기록했다. 타격에서는 최다 안타(1회), 주루에서는 도루왕(4회)을 기록했다.
5. 2. 수비 성적
기
살
살
책
살
비
율
